맨위로가기

1954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4년 아시안 게임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1954년 5월 1일부터 9일까지 개최된 아시안 게임의 두 번째 대회이다. 19개국이 참가하여 육상, 수영, 농구, 권투, 축구, 사격, 레슬링, 역도 등 8개 종목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일본이 금메달 38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8개로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아시안 게임 - 1954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1954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는 각 국가별 획득한 메달 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 것으로, 일본이 1위, 필리핀이 2위, 이란이 3위를 차지했으며,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고 메달 수가 같을 경우 IOC 국가 코드 순으로 정렬된다.
  • 1954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54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코먼웰스 게임
    1954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코먼웰스 게임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영연방 국가들의 스포츠 대회로, 최초의 텔레비전 중계와 로저 배니스터와 존 랜디의 '미라클 마일' 경주로 유명하며, 밴쿠버의 국제적 위상을 확립했다.
1954년 아시안 게임
제2회 아시안 게임
대회 이름제2회 아시안 게임
로고2nd Asiad.png
모토영원히 나아가자
개최 도시마닐라, 필리핀
참가 국가18개국
참가 선수970명
경기 종목8개 종목, 77개 세부 종목
개막일1954년 5월 1일
폐막일1954년 5월 9일
개회 선언라몬 막사이사이
필리핀 대통령
선수 선서마틴 기손
심판 선서안토니오 델라스 알라스
성화 점화엔리키토 비치
주경기장리살 기념 경기장
이전 대회1951 뉴델리
다음 대회1958 도쿄

2. 대회 개요

2. 1. 개최 도시 선정

2. 2. 엠블럼 및 마스코트

3. 참가국

1954년 아시안 게임에는 총 19개국이 참가하였다. 대한민국, 말라야 연방(현재의 말레이시아), 베트남, 북보르네오(현재의 말레이시아 사바주), 이스라엘, 중화민국, 캄보디아, 파키스탄, 홍콩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이란은 선수를 파견하지 않고 임원만 파견했다.

1954년 아시안 게임 참가국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고 임원만 파견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4. 경기 종목

육상, 수영, 농구, 권투, 축구, 사격, 레슬링, 역도의 8개 종목이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었다.[7] 수영은 다이빙, 수영, 수구 3개 세부 종목을 포함했다.[7] 이 대회는 1951년 아시안 게임보다 더 많은 종목을 포함했으며, 복싱, 사격, 레슬링이 처음으로 채택되었고, 사이클링은 제외되었다.[7]

5. 대회 진행

wikitext

=== 개회식 ===

1954년 아시안 게임은 1954년 5월 1일 오후 4시 2분(필리핀 현지 시각)에 라몬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막되었다.[5][6] 약 2만 명의 관중이 마닐라 말라떼에 있는 리살 기념 경기장을 가득 채워 개막식을 지켜보았다.[5]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요청에 따라 성화 봉송과 성화대 점화는 올림픽의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개막식에서 제외되었다.[5] 성화식은 1958년 아시안 게임에서 다시 도입되었다.[5] 그러나 개최국 필리핀은 입장 행진의 마지막 선수에게 특별 표창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제시하였다.[5] 개최국인 필리핀은 경기장에 마지막으로 입장하였다.[5][6] 필리핀 선수단의 기수는 안드레스 프랑코(Andres Franco)였는데, 그는 1951년 아시안 게임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이전 아시안 게임 육상 종목에서 필리핀인이 획득한 유일한 금메달이었다.[5][6]

=== 경기 일정 ===

1954년 아시안 게임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파란색 상자는 해당일에 열린 예선 라운드와 같은 종목 경기를 나타내며, 노란색 상자는 각 종목의 메달 수여 결승전이 열린 날을 나타낸다. 왼쪽에는 게임 기간 동안 경기가 열린 각 종목의 목록과 오른쪽에는 해당 종목에서 획득한 금메달 수가 나와 있다.

개회식개회식종목 경기1결승전폐회식폐회식



1954년 5월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금메달
식전 행사개회식폐회식
육상
농구
복싱
다이빙
축구
사격
수영
수구
역도
레슬링
총 금메달 수41310155102077
1954년 5월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금메달



=== 주요 성적 ===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일본|38|36|24|98
필리핀|14|14|17|45
한국|8|6|5|19
파키스탄|4|5|0|9
인도|4|4|5|14
중국|2|4|6|12
26px 미얀마|2|0|2|4
이스라엘|2|0|1|3
싱가포르|1|3|4|8
26px 스리랑카|0|1|1|2
인도네시아|0|0|3|3
26px 홍콩|0|0|1|1
합계|75|73|69|218


5. 1. 개회식

1954년 아시안 게임은 1954년 5월 1일 오후 4시 2분(필리핀 현지 시각)에 대통령 라몬 마그사이사이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막되었다.[5][6] 약 2만 명의 관중이 마닐라 말라떼에 있는 리살 기념 경기장을 가득 채워 개막식을 지켜보았다.[5]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요청에 따라 성화 봉송과 성화대 점화는 올림픽의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개막식에서 제외되었다.[5] 성화식은 1958년 아시안 게임에서 다시 도입되었다.[5] 그러나 개최국 필리핀은 입장 행진의 마지막 선수에게 특별 표창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제시하였다.[5] 개최국인 필리핀은 경기장에 마지막으로 입장하였다.[5][6] 필리핀 선수단의 기수는 안드레스 프랑코(Andres Franco)였는데, 그는 1951년 아시안 게임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이전 아시안 게임 육상 종목에서 필리핀인이 획득한 유일한 금메달이었다.[5][6]

5. 2. 경기 일정

토2일
일3일
월4일
화5일
수6일
목7일
금8일
토9일
일금메달
수식전 행사개회식폐회식 육상 농구 복싱 다이빙 축구 사격 수영 수구 역도 레슬링총 금메달 수413101551020771954년 5월1일
토2일
일3일
월4일
화5일
수6일
목7일
금8일
토9일
일금메달

5. 3. 주요 성적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일본|38|36|24|98
필리핀|14|14|17|45
한국|8|6|5|19
파키스탄|4|5|0|9
인도|4|4|5|14
중국|2|4|6|12
26px 미얀마|2|0|2|4
이스라엘|2|0|1|3
싱가포르|1|3|4|8
26px 스리랑카|0|1|1|2
인도네시아|0|0|3|3
26px 홍콩|0|0|1|1
합계|75|73|69|218


6. 메달 집계

일본이 금메달 38개, 은메달 36개, 동메달 24개로 총 98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메달 집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8] 개최국인 필리핀은 금메달 14개를 포함하여 총 45개의 메달로 2위를 기록했다.[8] 한국은 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5개로 총 19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상위 12위 안에 든 국가들의 메달 집계는 아래 표와 같다.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일본38362498
2필리핀14141745
3한국86519
4파키스탄4509
5인도44513
6중국24612
7미얀마2024
8이스라엘2114
9싱가포르1348
10스리랑카0112
11인도네시아0033
12홍콩0011
합계757369218


7. 대회 이모저모

최윤칠은 마라톤이 주종목임에도 불구하고 1,500m 달리기에 참가하여 3분 56초 2의 동양신기록으로 결승선을 1위로 통과,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육상 10,000m 달리기에서 최충식은 33분 0초 6의 아시아 신기록을 수립하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중화민국은 축구에서 금메달을, 대한민국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일본은 육상과 수영 부문에서 경쟁국들을 압도하며 여유있게 종합 1위를 달성하였다.

참조

[1] 문서 Not formally named as Judge's Oath, it was a tradition then when an officiating representative (Judge) of the host nation formally approach the Head of State to read a statement from the Sport Officers and to request the Head of State to formally open the games.
[2] 문서 As requested by the IOC, the torch relay and lighting of the cauldron were excluded from the Opening Ceremony to preserve the tradition of the Olympic Games. The torch ceremony were returned at the 1958 Asian Games. The host however gave a solution by giving a special citation to the last athlete to enter the parade. The Philippines, as host, was the last country to enter the stadium.
[3] 뉴스 Manila Times Manila Times 1954-05-09
[4] 뉴스 Manila Times Manila Times 1954-05-10
[5] 뉴스 Manila Times Manila Times 1954-05-02
[6] 웹사이트 Asian Games – Men – High jump http://www.gbrathlet[...] Athletics Weekly 2011-07-11
[7] 웹사이트 Report of the First Asian Games held at New Delhi http://www.la84found[...] LA84 Foundation 2011-07-11
[8] 웹사이트 Overall medal standings – Manila 1954 https://web.archive.[...] Olympic Council of Asia 2011-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